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토론토원정출산2

캐나다에서 출산시 장점. 본인은 캐나다 시민권을 가진 자녀의 부모입니다. 하지만, 저희 부모들은 아직 영주권을 취득하지 못한 상태이며, 영주권을 취득하기 위해 준비 중입니다.  캐나다에서 원정출산을 준비하는 부모님들이라면 거의 저희와 비슷한 처지라고 생각 듭니다. 간혹, 캐나다 2세 분들이 캐나다에서 거주하다 나이가 들어 한국에서 외국인 신분으로 거주하다출산시 다시 캐나다에 돌아오는 경우 말고는 다 똑같은 처지입니다.  자, 그렇다면 외국인 자녀지만, 캐나다 시민권인 자녀는 어떠한 혜택들이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이러한 장점에 대해 신중히 심사숙고하여 무리를 해서라도 캐나다원정출산을 고집해야는지 고민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캐나다에서 외국인 신분으로 거주를 한다는건 사실 속상한 일입니다. 정확한 표현으로는 외국인 노동자.. 2024. 5. 17.
캐나다 원정 출산 방법과 비용에 대한 간단한 이해. 자녀에게 한국 시민권이 아닌 타국 시민권, 그것도 영어권의 나라의 시민권을 만들어 주고 싶은 게 우리 부모님들의 마음이다.우선 본인이 겪고 현재도 겪고 있는 과정에 대해 주관적으로 작성합니다.워크퍼밋이 있다고 하여도 최소 캐나다에서 2~3달은 일을 해야 OHIP을 받을 수 있도록 근무하는 회사에서 서포트해 준다. 물론 캐나다 회사의 레터 한 장이 중요하지만, 토론토 정부에서도 의료 무상 지원이라는 막대한 자금을 지원하는 만큼, 심사가 만만치는 않다. 입국 기록에 한 달도 채 안되어서 지인의 레터 한 장만으로 캐나다 의료 서비스를 마음껏 누리게 할 정도로 토론토가 과거에 비해 경제적으로 좋지는 않은 게 사실이다. 그리고 이렇게 속임수로 많은 이들이 의료혜택을 받고 있는 걸 캐나다 정부도 알고 있기에 나름 .. 2024. 5. 16.